글로벌 BNPL 시장의 선두주자
Affirm Holdings, Inc. 는 페이팔 공동창업자 맥스 레브친이 설립한 미국 최대 후불결제(BNPL) 기업이다. 어펌 홀딩스는 현재 1,950만 명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연간 260억 달러 규모의 거래를 처리하고 있다.
AFRM은 국내외 시장에서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특히 최근 애플 페이와의 서비스 연동과 영국 시장 진출은 어펌의 글로벌 확장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글로벌 BNPL 현황 및 전망]
어펌의 선제적인 해외 진출은 BNPL 시장의 선점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전략으로 평가된다. 특히 영국은 유럽 내 BNPL 최대 시장으로, 성공적인 현지화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견조한 성장세, 하지만 수익성은 숙제
Affirm Holdings, Inc.의 최근 실적은 고무적이다. 2025년 1분기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한 76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매출액 역시 41% 늘어난 6.98억 달러를 달성했다.
[어펌 홀딩스 실적]
항목 | 1Q25 | 전년대비 |
거래액 | $76억 | +35% |
매출액 | $6.98억 | +41% |
영업비용률 | 119.0% | -23.2%p |
순손실률 | -14.4% | +20.2%p |
영업비용률은 119%로 전년 동기 대비 23.2% 포인트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100%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순손실률은 14.4%로 20.2% 포인트 축소되며 적자폭을 줄였다.
고성장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적신호가 켜진 것은 어펌 홀딩스의 가장 큰 숙제로 보인다. 마케팅과 고객 유치에 대한 투자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수익성을 개선하는 것이 향후 과제가 될 전망이다.
[순이익 및 EPS 추이]
기술적 분석, 추가 조정 가능성 시사
AFRM 주가는 2023년 저점 대비 500% 가까이 상승했으나, 최근 기술적 지표들은 부정적인 신호를 보내고 있다.
[AFRM 주가 차트]
8월부터 이어진 상승 추세선이 깨지며 저항으로 전환되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 약세를 시사하고 있다. MACD와 RSI, 스토캐스틱 등 주요 지표들 역시 모두 악화일로를 걷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AFRM 이동평균선과 지표]
어펌 홀딩스 주가의 상승 모멘텀이 한풀 꺾인 것으로 보인다. 기술적 조정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만큼, 추가 하락에 대비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해 보인다.
밸류에이션 매력과 리스크 요인
Affirm Holdings, Inc.의 밸류에이션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P/S 비율은 현재 6.6배로, AFRM의 역사적 평균치에 근접한다. 다만 최근 실적 개선을 고려할 때 상향 조정될 여지는 있어 보인다.
[P/S 비율 및 P/B 비율]
P/B 비율은 5.9배로 평균 이상이지만, 손실 폭 축소를 감안하면 타당한 수준으로 판단된다. 전반적으로는 매출 성장에 비해 주가 상승 폭이 크지 않아 상대적 밸류에이션 매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어펌의 주가 변동성과 베타, 그리고 경쟁 심화와 소비심리 악화 등은 잠재적 리스크 요인이다. 또한 30% 이상의 고평가 부담과 연체율 상승 추세도 관전 포인트가 될 전망이다.
[AFRM 밸류에이션 비교]
지표
|
현재
|
적정 수준
|
시가총액
|
$224.6억
|
$165.5억
|
P/S 배수
|
9.57배
|
5.34배
|
고평가율
|
+30%
|
-
|
FY25 매출
|
$31억
|
-
|
결론 및 투자 의견
Affirm Holdings, Inc.는 빠른 사업 확장과 시장 선점으로 BNPL 업계를 선도하고 있다. 향후 흑자 전환 가시화와 수익성 개선이 지속된다면 장기 성장을 기대해 볼 만하다.
다만 고평가 부담과 주가 변동성, 경쟁 심화 등은 당분간 주가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최근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기술적 지표들 역시 추가 조정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게 한다.
이에 저자는 어펌 홀딩스에 대해 '중립(Hold)' 투자의견을 제시한다. 매력적인 성장성에도 불구하고 밸류에이션 부담이 상존하기 때문이다. 투자자들은 AFRM의 수익성 개선 속도와 글로벌 사업 진척도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현시점에서 어펌 홀딩스에 대한 추가 매수보다는 차분한 관망이 바람직해 보인다. 단기적으로는 밸류에이션 조정 국면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나, BNPL 시장의 장기 성장성을 감안할 때 매력적인 진입 기회를 기대해 볼 만하다. 어펌의 리스크 요인들이 해소되고, 주가 조정이 진행된 시점이 적정 투자 타이밍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
Affirm: Wait Now, Buy Later by Selendis Research
Affirm: Minimal Gains Expected From Here (Technical Analysis) by Bay Area Ideas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러그파워 주가 전망: 기술적 강점과 저평가 매력 (0) | 2025.01.23 |
---|---|
사운드하운드 AI 주가 전망: 40% 급락과 밸류에이션 경고 (0) | 2025.01.22 |
세일즈포스 주가 전망: AI 통합과 데이터 경쟁력의 시너지 (0) | 2025.01.20 |
레딧 주가 전망: 구글 파트너십과 47% 성장의 기회 (0) | 2025.01.10 |
핌코 다이내믹 인컴펀드 주가 전망: 15% 고배당과 리스크 (0) | 2025.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