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1위 화장품 유통 업체 울타뷰티의 주가가 최근 약세를 보이고 있다. 2024 회계연도 1분기 어닝쇼크에 대한 우려가 커지며 주가는 한때 400달러 아래로 내려앉기도 했다. 그러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오히려 이는 매력적인 저점 매수 기회가 될 수 있어 보인다. 울타뷰티의 중남미 시장 공략을 통한 글로벌 성장 전략이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다.
단기 실적 부진에도 불구, 성장 스토리는 여전히 유효
울타뷰티는 2023 회계연도 실적이 시장의 기대치를 웃도는 선방을 보였다. 특히 연말 시즌 매출이 견조한 증가세를 나타냈다. 다만 2024 회계연도 1분기 실적은 다소 부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컨센서스에 따르면 전년 동기 대비 EPS가 8%가량 감소할 것으로 점쳐진다.
[울타뷰티 분기별 EPS 전망]
이러한 1분기 부진 전망은 주가 약세로 이어졌다. 울타뷰티의 주가는 400달러 아래로 내려앉으며 지난 1년 최저치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오히려 좋은 투자 기회가 될 수 있다. 울타뷰티의 중장기 성장성에는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2024년은 아직 본격적인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아 다소 주춤할 수 있다. 그러나 2025년부터는 글로벌 진출의 효과가 가시화되며 두 자릿수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의 주가 약세는 장기 투자자들에게 저점 매수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멕시코 진출'로 중남미 시장 개척, 새로운 성장 동력 마련
울타뷰티는 올해 중남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1차적으로 멕시코 시장에 진출해 현지 합작법인(JV) 설립을 추진할 계획이다. 파트너사인 그루포악소와의 협력을 통해 자본 투자를 최소화하는 가운데, 중남미 시장 개척에 나설 전략이다.
멕시코 화장품 시장 규모는 약 100억 달러로 추산된다. 1인당 국민소득 증가와 함께 뷰티 수요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울타뷰티는 향후 멕시코 내에서만 650개 이상의 매장을 열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역별 뷰티 시장 규모 및 전망> (단위: 10억 달러)
지역 | 2022E | 2027E | 5년 CAGR |
북미 | 122 | 141 | 2.9% |
중남미 | 60 | 80 | 6.0% |
유럽 | 144 | 161 | 2.3% |
아시아 태평양 | 217 | 311 | 7.4% |
중동·아프리카 | 32 | 45 | 7.0% |
출처: Business of Fashion (2023)
경쟁사 세포라의 경우 멕시코에서 이미 40개의 매장을 운영 중이다. 그러나 세포라는 아시아와 유럽 진출에 주력하고 있어, 울타뷰티가 중남미 시장에서 선점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세포라 멕시코 매장 현황]
특히 중남미 여성들의 높은 화장품 구매력도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미국 내 조사 결과, 중남미계 여성들의 화장품 지출이 다른 인종 대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멕시코 공략의 성공은 주변국 진출에도 탄력을 실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저점 매력 부각, 2025년 이후 수익성 개선 가시화
최근 울타뷰티의 주가는 1분기 실적 부진과 성장 지연에 대한 우려로 400달러까지 하락한 바 있다. 그러나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지금이 오히려 좋은 투자 기회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2025년부터는 본격적인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 멕시코 등 신규 시장 진출의 효과가 가시화되는 동시에, 마진율 향상도 점쳐지기 때문이다. 2024년 기준 울타뷰티의 주가순이익비율(PER)은 15배 수준으로, 업종 평균을 하회하는 저평가 구간에 있다.
장기적으로는 밸류에이션 레벨이 20배까지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현 주가 대비 40% 이상의 상승 여력이 있음을 시사한다. 일부에서는 최대 6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물론 거시경제 악화와 경쟁 심화 등은 잠재적인 리스크 요인이다. 신규 출점이 지연되거나 기대보다 부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다만 화장품은 필수재에 가까운 속성을 지녀, 경기 둔화의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다.
또한 울타뷰티만의 차별화된 매장 고객 경험과 폭넓은 브랜드 구색 등은 경쟁력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중남미 시장 선점을 계기로 브랜드 인지도가 한층 제고될 수 있다는 점도 기대를 모으고 있다.
종합해 보면 울타뷰티의 장기 성장 전망은 여전히 유효해 보인다. 중남미 진출의 성과가 아직 실적으로 검증되진 않았으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2025년 이후에는 수익성 개선이 가시화될 전망이다.
현재의 밸류에이션 매력도를 감안할 때, 지금이 저점 매수의 좋은 기회가 아닐까 싶다. 올해 들어 20% 이상 조정을 받은 만큼, 이를 계기로 장기 포트폴리오에 편입을 고려해 볼 만하다. 울타뷰티의 글로벌 성장 스토리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참고
ULTA Beauty: Another Chance To Accumulate by Ahoy Alpha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이팔, 견조한 실적에도 주가 부진... 투자심리 개선이 관건 (0) | 2024.05.26 |
---|---|
슈퍼마이크로컴퓨터(SMCI) 주가 전망, AI 랠리에 급등했지만 고평가 부담 지속 (0) | 2024.05.26 |
핀둬둬 홀딩스 주가, 고성장에 저평가 매력까지 '매력적' (0) | 2024.05.26 |
데이터독 주가 전망, 견조한 실적에도 고평가 부담 지속 (0) | 2024.05.26 |
미국 고배당 CEF, ETF(GOF), 할인 매수 기회 노려야 (1) | 2024.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