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서비스나우, 제너레이티브 AI 열풍 속 업무 자동화 수요 증가로 고성장 전망

by 웅드리치 주식투자 :) 2024. 5. 30.

 

서비스나우는 업무 자동화와 최적화에 특화된 글로벌 SaaS 기업이다. 최근 제너레이티브 AI 열풍에 힘입어 성장성이 한층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꾸준한 실적과 견조한 중장기 성장 가이던스를 제시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ServiceNow 주가 추이]

ServiceNow 주가 추이

 

서비스나우 주가는 최근 IT 섹터 약세에 따라 조정을 받았지만, 제너레이티브 AI 수혜가 부각되며 연초 이후로는 시장을 아웃퍼폼 하는 모습이다. 필자는 현 주가가 장기 성장주를 찾는 투자자에게 좋은 진입 기회라고 판단한다.

 

 

디지털 워크플로우 사업, 제너레이티브 AI로 더욱 진화

 

서비스나우는 IT, 직원, 고객 워크플로우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HR 문의 대응부터 IT 문제 해결까지 다양한 업무 영역에서 활용도가 높다. 최근에는 제너레이티브 AI 기술을 접목해 한층 업그레이드된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ServiceNow의 디지털 워크플로우 개념도]

주요 워크플로우 IT직원 고객
사용 사례 IT 헬프데스크 자동화 HR 업무 간소화 고객 문의 대응
Gen AI 적용 사례 AI 기반 문제 해결 지원 HR 챗봇 도입 AI 고객 서비스 지원

 

제너레이티브 AI 기술은 서비스나우의 기존 솔루션을 보다 스마트하고 효율적으로 만들어주고 있다. 예컨대 'AI 기반 요약' 기능을 통해 상담원이 기존 사례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됐다.

 

[ServiceNow의 제너레이티브 AI 기반 IT 워크플로우 사례]

AI 요약 기능 상담원의 업무 효율성 향상
사용 시나리오 상담원이 진행 중인 사례를 신속 파악하고 대응해야 할 때
주요 기능 - AI가 기존 사례 내용을 분석해 핵심 포인트 요약<br>- 상담원의 컨텍스트 이해도 향상<br>- 문제 해결 시간 단축

 

이처럼 제너레이티브 AI는 서비스나우의 본업인 업무 자동화와 최적화에 직결되는 기술이다. AI 기술 발전으로 디지털 워크플로우 시장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고성장세 지속, 중장기 목표 달성에 자신감

 

1분기 실적을 보면 서비스나우의 고성장세가 여전히 건재함을 알 수 있다.]

 

[ServiceNow 1분기 실적 요약]

매출액 $2.52B
매출액 증가율(YoY) 25% (CC* 24%)
Non-GAAP 영업이익률 30% (가이던스 29% 상회)
cRPO 증가율(YoY) 21% (가이던스 20% 상회)

(*CC: Constant Currency, 일정 환율 기준)

 

구독 매출(Subscription Revenue)은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했고, 영업이익률과 cRPO(향후 잔여 계약 매출) 증가율은 모두 가이던스를 소폭 상회했다. 특히 구독 매출 증가율이 전년도 수준을 유지한 점이 인상적이다.

 

[ServiceNow 구독 매출 추이]

ServiceNow 구독 매출 추이

 

1분기 말 기준 현금성 자산은 $8.8B로 부채($1.5B) 대비 매우 여유로운 수준이며, 최근 승인한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주식 희석 상쇄 목적)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회사는 2023년 연간 가이던스를 구독 매출 22% 성장(~$10.58B), Non-GAAP 영업이익률 25% 등으로 상향 조정했다. 2분기 가이던스 역시 매출 성장률 22%, 영업이익률 25% 등으로 고무적이다.

 

중장기적으로도 서비스나우는 2026년까지 연평균 20% 이상의 구독 매출 성장을 자신하고 있다.

 

[ServiceNow 2026년 재무 목표]

2026 구독 매출 $15B 이상
연평균 성장률 20% 이상
Non-GAAP 영업이익률 31%

 

AI로 인한 업무 프로세스 최적화 수요 확대와 사이버 보안 니즈 증가 등이 장기 성장을 뒷받침할 것으로 기대된다.

 

 

컨센서스 크게 웃도는 2026년 전망, 밸류에이션은 합리적

 

시장 컨센서스에 따르면 서비스나우는 향후 수년간 20% 중반의 고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ServiceNow 연간 실적 전망]

ServiceNow 연간 실적 전망

 

2026년 매출액은 무려 $15.9B로, 회사의 장기 목표치($15B)를 크게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영업 레버리지 효과에 힘입어 EPS 역시 가파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ServiceNow EPS 전망]

ServiceNow EPS 전망

 

참고 자료의 필자는 서비스나우의 장기 영업이익률을 40% 내외로 추정하고 있는데, 이는 업계 평균(30%)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서비스나우 솔루션의 높은 중요도(Mission Critical)와 판매 효율성이 높은 마진율을 뒷받침할 것으로 보인다.

 

[ServiceNow 판매 효율성 추이]

ServiceNow 판매 효율성 추이

 

PER 30배를 적용할 경우 서비스나우의 적정 PSR(Price to Sales Ratio)은 12배 내외로, 현재 주가는 14배 수준에서 이에 근접해 있다. 추가적인 밸류에이션 상승 여력은 제한적일 수 있으나, 업종 내 프리미엄과 이익 성장을 감안하면 충분히 합리적인 수준이라고 판단된다.

 

현 주가는 PSR 8배(PER 20배) 시나리오 하에서도 연 10% 내외의 주가 상승 여력을 시사하고 있다. 큰 변동성 없이 장기 시장 수익률을 상회하는 성과가 기대되는 만큼, 서비스나우는 우량 장기 성장주를 찾는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경쟁 심화로 인한 성장세 둔화, 제너레이티브 AI 기술 변화 등은 잠재적인 리스크 요인으로 꼽힌다. 다만 솔루션의 높은 전환 비용(High Switching Cost)과 확고한 시장 포지셔닝 등을 고려할 때, 타 기업 대비 방어력은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서비스나우는 제너레이티브 AI 열풍 속에서 업무 자동화 수요 증가의 수혜를 누리며 고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견조한 실적과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장기 전망은 투자 매력도를 높이는 요인이다.

 

밸류에이션 부담은 있으나 프리미엄에 걸맞은 성장 모멘텀을 감안하면 현 주가 수준은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장기 관점에서 서비스나우는 매력적인 투자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참고

ServiceNow Is A Generative AI Winner And Compounder by Julian Lin